[부천어깨통증] 거북목증상 나이가 들수록 더 유의하자
안녕하세요^^ 부천어깨통증 병원 뽀빠이의원입니다.
컴퓨터를 하는 요즘 연령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생길 수 있는 거북목,
vdt증후군의 일종인 데다가 대표적인 생활습관병으로
어깨가 아프거나 목이 당길때 여러분도 한 번쯤은
나도 거북목이 아닐까하고 의심해본적이 있으실것같은데요.
요즘은 청소년들에게도 나타나는 비율이 높아지지만
그래도 거북목은 나이가 들수록 좀 더 거북목증상 하나하나에
의심을 갖고 병원에서 정확한 상담을 받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사람이나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한 연구에 의하면
사람의 노화는 평균적으로 26세에서 시작되어 38세때부터 빠르게 진행된다고 하는데요.
나이가 든다는 것은 겉으로 보기엔 말짱해 보일지 몰라도
몸은 근육량이 적어지고 근력이 저하됩니다.
그러나 아시다시피 그 나이대는 한창 사회활동을 하는 나이로
운동보다는 일에 할애하는 시간이 많죠.
같은 근육량을 유지하기 위해선 더 많은 운동량이 더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책상에 앉아있는 시간이 더욱 많은 것이 일반적인 모습입니다.
평소 자세나 습관에 영향을 받는 거북목은
저하된 근육이란 요소까지 더해진다면 발생가능성이 더욱 높아집니다.
보통 앉아서 업무를 하거나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긴 분들
운동량이 적고 바른자세를 유지하기 힘드신 분들이라면
시간이 지날 수록 더욱 더 주의를 해야하는 것인데요.
거북목이 악화된 상태에선 경추관절을 비롯해 어깨,등 근육도
영향을 받아 통증이 생기기도 하니 거북목증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놓아야합니다.
:: 거북목! 정확한 검진을 받아볼 시기입니다 ::
∨ 머리가 상체에 비해 앞으로 나와있다
∨ 어깨와 등이 구부정하고 어깨 근육이 많이 뭉쳐있다
∨ 뒷목이 뻐근하고 아프다
∨ 잠을 자도 개운치 않고 뒤척거린다
∨ 팔이 자주 저린다
∨ 집중력이 떨어지고 한곳을 오래 보지 못한다
∨ 어지러움이 심하고 구토증상이 있다
컴퓨터모니터를 보거나 텔레비전을 볼 때도 고개가 앞으로 조금 나와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자세에선 경추의 하중이 더 실리는데요. 고개가 1센티미터 앞으로 빠질 때마다
목뼈에는 2~3킬로의 하중이 실리게 되는데
마치 이 자세가 굳어진 형태와 같은"거북목"은
일상적인 생활자체에서 목뼈에 하중이 계속 실리게 되는 것인데요.
그로인해 목,어깨통증을 유발하고 심해지면 두통와 어지러움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그로인해 부천어깨통증 병원 뽀빠이에서도 거북목증상으로 나타나는
만성적인 통증과 피로감, 쉬어도 해결되지 않는 불편함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그러나 더욱 핵심적인 것은 거북목을 방치하면 그 무게가
관절을 압박해 디스크의 위험성이 커지며 심각해지면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는 사실.
최근에는 거북목이 심각한 수준으로 이어지면서 20대에도 초기 디스크환자가 있는데요.
나이가 들수록 통증과 체형변형도 악화되므로 가능하다면
서둘러 부천 뽀빠이의원을 찾으셔서 수술없는 거북목교정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거북목을 체형불균형 질환이라고 말합니다.
목뼈는 머리를 받쳐주고 상체와 연결해주는 기능을 하는데요.
목뼈에 변형이 생기면서 균형이 깨지고
머리도 무겁게 느껴지고 기능도 저하되는 것!
거북목이 생기면 보통 어깨와 등도 굽어 함께 교정을 해주어야 하는데요.
1:1맞춤 체형교정 병원 뽀빠이의원에서
현재 통증을 유발하는 체형의 구조적인 변형과
근본적인 원인인 근력과 자세습관을 함께 잡아 재발염려줄인 교정치료를 시작해보시길 바랍니다.
부천어깨통증은 거북목이 있다면 만성적으로 나타납니다.
통증만 잡지말고 통증을 유발하는 거북목을 부터 잡아보세요!
1:1맞춤 비수술 체형교정 부천/부평/인천 뽀빠이의원
'체형교정클리닉 > 일자목·거북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정형외과] 거북이목교정 꼿꼿한 자세 얼마나 도움될까 (0) | 2016.08.17 |
---|---|
[잠실 일자목] 빈번한 피로와 통증잡는 거북목치료 (0) | 2016.08.10 |
[대구 정형외과] 뒷목이 아플때 어떻게 하시나요? (0) | 2016.07.29 |
[영등포 거북목] 무거운 어깨도 계속되면 거북목증상 아닌지 체크 (0) | 2016.07.26 |
[부산도수치료] 어깨뭉침스트레칭 가슴을 활짝 펴주자 (0) | 2016.07.22 |